더 빠르고, 더 많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가치 기술을 연결합니다

Global Social Problem Database

해외 사회문제


태국 해양쓰레기 문제

태국 해양쓰레기 문제


Ocean Conservancy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그리고 태국의 해양쓰레기 배출량은 나머지 세계 국가들 총 배출량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태국은 인근 해변에서 대규모의 해양 쓰레기띠가 지속적으로 목격되는 등 그 문제점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발생 원인

태국 내 연간 생산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은 200만 톤에 달하며, 그 규모는 전체 쓰레기의 1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국은 재활용 시스템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 대부분의 폐플라스틱이 바다로 투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피해정도와 범위

2017년 폐플라스틱과 비닐로 이루어진 무려 1km에 이르는 거대한 띠 모양의 해양쓰레기 섬이 태국 타이만 인근 해상에서 발견되었으며, 무게는 300톤 정도로 추산되었다 합니다. 최근에는 폐비닐과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삼켜 죽음을 맞이한 고래 및 거북이들이 다반사로 태국 해변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태국 해안을 떠다니는 해양 쓰레기섬은 해양생물의 몸에 엉겨 붙거나, 삼킨 해양생물을 독성물질로 병들게 하여 목숨을 앗아가는 등 해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합니다. 더 나아가, 쓰레기를 먹어 독성이 퍼진 물고기들이 사람의 밥상까지 올라올 경우 사람이 버린 쓰레기에 사람도 병들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노력과 해결책

2017년 다보스 포럼에서는 2050년까지 해양 생물의 총 중량보다 폐플라스틱의 총 중량이 더 클 것이라고 경고하였습니다. 따라서, 세계 해양쓰레기 최대 배출국 중 하나인 태국은 해양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고, 플라스틱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해양쓰레기는 이미 인력을 통한 수작업으로 수거하기엔 불가능할 정도로 그 규모가 광대하기에, 해류의 원리를 이용해 자동적으로 쓰레기 수거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제품 개발이 가능한 기술 확산도 요망됩니다.


해결기술 사례
  • 수시로 바닷물과 해양 쓰레기를 빨아들이고, 쓰레기통 안의 그물망에서 쓰레기와 물이 걸러지며 빨아들인 바닷물은 다시 정화시켜 배출하는 해양 쓰레기통을 개발한 ‘Seabin’
  • 해류가 원형으로 도는 지점에 100km 둘레의 바다 울타리를 만들어 해류와 함께 쓰레기도 돌면서 울타리 중심부 꼭짓점을 향해 점점 모이는 기술을 개발한 ‘Ocean Cleanup’
  • 해양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하여 신제품 러닝화를 출시한 ‘Adidas’




출처와 참고자료
  • Ocean Conservancy, “Stemming the Tide: Land-based strategies for a plastic-free ocean”, 2017
  • Thailand pollution management center, “Plastic Waste Management Plan 2017-2021”, 2017
  • Dabos Forum, “The new plastic economy rethinking the future of plastics”, 2017


#환경


상호명 주식회사 퍼센트    대표 백승철

사업자등록번호 215-87-8887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8-서울서초-2580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최승연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드림플러스 1417호

        (서초동, 한화생명보험빌딩) 

전화번호 02-6953-4501   팩스 02-6008-2301


 URL  percent.ac/superlocal    이메일 meet@percent.ac

2022 Percent.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