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빠르고, 더 많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가치 기술을 연결합니다

Global Social Problem Database

해외 사회문제


가나 선진국 전자폐기물(e-waste)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가나 선진국 전자폐기물(e-waste)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가나에는 아프리카의 최대 전자폐기물(e-waste) 쓰레기장이 있습니다. 매년 21만 5000톤 가량의 중고 전자제품이 들어오며 이로 인해 12만 9000톤의 전자 폐기물이 발생되는 아그블로보시 시장(Agbloboshie Market)입니다. ‘전자폐기물’이란, 오래된 휴대폰, 개인용 컴퓨터(PC), 텔레비전 등 전자 장비 및 부품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지칭합니다. 이 쓰레기 처리장에서는 빈민가의 지역 주민 및 어린이들이 해외에서 흘러온 폐전자제품을 분해, 일부 부품을 불태운뒤 녹아내린 값나가는 금속을 얻어 생계를 유지하지만, 보호장비 없이 맨손으로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발생 원인

가나 아크라 항구는 매달 600~1000톤의 화물이 들어옵니다. 이 화물들은 유럽,미국, 호주 등에서 온 것으로 티비, 휴대폰, 카트리지, 냉장고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분류작업이 끝난 것은 기능에 따라 쓸 수 있지만, 대부분 통으로 들어와 새로운 분류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가나 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들어오는 화물 중 13%만이 재활용 프로세스를 거친 화물로, 나머지 전자 폐기물들은 5세-17세 사이의 어린이들이 분해를 하게 됩니다.

1989년에 체결된 바젤협약(Basel Convention)에 의해 선진국이 후진국에 유해 전자 폐기물을 수출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나 흔히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발도상국 지원용품으로 가장해 중고 전자물품들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린피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쓸 수 없고 망가진 ‘중고전자용품’의 25~75%가 아프리카로 오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가나에서 직접적으로 쓰레기를 중고물품에서 구별하는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은 없어, 가나환경 보호국 또한 선진국에서 오는 전자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통제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피해정도와 범위

PC의 브라운관과 납, 수은, 코발트를 포함한 각종 부품들은 환경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게다가 아그블로보시 시장에는 약 4만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심각한 빈곤을 겪고 있고 그 중에는 빈곤한 이주소녀들이 쓰레기 더미 근처에 살고 있습니다. 그들 모두 e-폐기물로 인해 위험하고 비위생적인 생활조건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불타는 e-폐기물로부터 나오는 매연에 영향 받은 인구는 25만명 가량 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1]. 실제 이 지역의 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허용치보다 45배나 높았습니다.

또한, 전자폐기물 해제 작업으로 인해 대부분은 화상 상처가 있고, 시력 손상, 폐손상, 요통, 만성 메스꺼움, 식욕 부진, 두통 등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는 노출된 전자 폐기물의 유해 화학물질로 발병된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UN StEP(Solving the E-waste Problem) Initiative 관계자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혁신이 거듭될수록 신제품의 출시는 빨라지고 기대 수명도 5년 안팎으로 줄어들어 전자폐기물의 늘어나는 속도는 더 빨라져 앞으로 4년동안 33%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노력과 해결책

2016 년 8 월, 가나 (Ghana) 대통령은 위험한 전자 폐기물 관리 및 관리법 (Act 917)에 이어 위험한, 전자 및 기타 폐기물 (분류), 관리 및 관리 규정 (LI 2250)에 서명했습니다. 위의 두 가지 법적 프레임 워크는 가나의 전자 폐기물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전략을 구축하는 토대가 되었습니다.

또한, 가나 환경보호국과 미국 환경단체가 아그블로보시 마을에 전선의 피복을 자동으로 벗겨주는 기계를 지원하여 폐전자제품을 태우지 않고도 구리를 얻을 수 있게 하게 하는 등 국제 NGO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해결기술 사례
  • Greenpeace, Poisoning the poor Electronic waste in Ghana 2008
  • Ghana e-Waste Country Assessment: SBC e-Waste Africa project, 2011
  • Adam Minter, The Burning Truth Behind an E-Waste Dump in Africa, Smithsonian.com, 2016




출처와 참고자료
  • [1] Billie Adwoa McTernan, Ghana: E-waste, pollution plagues Accra's Agbloboshie, (2013/11/07)


#환경 


상호명 주식회사 퍼센트    대표 백승철

사업자등록번호 215-87-8887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8-서울서초-2580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최승연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드림플러스 1417호

        (서초동, 한화생명보험빌딩) 

전화번호 02-6953-4501   팩스 02-6008-2301


 URL  percent.ac/superlocal    이메일 meet@percent.ac

2022 Percent.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