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의 수도 아크라의 아그블로부시는 세계에서 유독가스로 가장 오염된 도시 10위 안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가나는 2003년부터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어린이 한 명당 노트북 한대’(OLPC, One Laptop Per Child), '1가구 1랩탑' 계획(Laptop per Household)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ICT분야를 활용해 왔는데, ICT 분야가 성장하면서 국가적으로 중고 전자 기기 제품의 수입이 증가하였고, 전자 폐기물 문제가 야기되었습니다. 사용할 수 없는 전자 폐기물이 모인 매립지는 거대한 슬럼가를 만들게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많은 사람들의 건강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었습니다.
사회문제 발생 원인
가나정부는 자국 내 ICT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관련 기기(컴퓨터, 핸드폰 등)들을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많은 중고 제품을 수입했지만 노후된 중고품들의 사용이 불가능해지자 전자 폐기물이 넘쳐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국가적으로 전자 폐기물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관련 법규가 없어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매립지가 방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피해정도와 범위
한 보고서(Green Cross Switzerland and the Blacksmith Institute)에 따르면 매년 약 215,000톤의 중고 제품이 아그블로부시 도시로 유입되며 129,000톤의 전자 폐기물을 발생시킨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약 4만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나, 폐기물 속 값나가는 원재료(구리 등) 채취를 위해 전선을 벗기고 태우는 등의 불법적인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매연으로 실제적으로는 약 25만명의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이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소변 샘플을 조사한 결과, 높은 수준의 중금속, 기타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여성들의 경우 모유 샘플에서 폴리염화비페닐과 브롬화염소화제 등의 수치가 비정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노력과 해결책
가나 정부는 전자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2017년 폐 전자제품의 환경 및 인체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워크숍과 정보 세미나를 이용한 전자 폐기물 관리에 간접적인 접근법을 취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2016년에는 UNEP와 EU와 함께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설립하여 수은, 납, 카드뮴과 같은 유독성 전자 폐기물 성분을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적절히 폐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아가 이러한 국가적인 노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에 해가 되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생계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매립지에서 계속 일할 수 밖에 없는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일자리 및 생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좀 더 건강한 삶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결기술 사례
작성중
출처와 참고자료
Michael Carl Hector - Toxic Trade: E-Waste Disposal and Environmental Governance in West Africa (Stellenbosch University,2017)
가나의 전자 쓰레기 폐기물 문제
사회문제 발생 원인
가나정부는 자국 내 ICT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관련 기기(컴퓨터, 핸드폰 등)들을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많은 중고 제품을 수입했지만 노후된 중고품들의 사용이 불가능해지자 전자 폐기물이 넘쳐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국가적으로 전자 폐기물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관련 법규가 없어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매립지가 방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피해정도와 범위
한 보고서(Green Cross Switzerland and the Blacksmith Institute)에 따르면 매년 약 215,000톤의 중고 제품이 아그블로부시 도시로 유입되며 129,000톤의 전자 폐기물을 발생시킨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약 4만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나, 폐기물 속 값나가는 원재료(구리 등) 채취를 위해 전선을 벗기고 태우는 등의 불법적인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매연으로 실제적으로는 약 25만명의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이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소변 샘플을 조사한 결과, 높은 수준의 중금속, 기타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여성들의 경우 모유 샘플에서 폴리염화비페닐과 브롬화염소화제 등의 수치가 비정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노력과 해결책
가나 정부는 전자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2017년 폐 전자제품의 환경 및 인체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워크숍과 정보 세미나를 이용한 전자 폐기물 관리에 간접적인 접근법을 취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2016년에는 UNEP와 EU와 함께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설립하여 수은, 납, 카드뮴과 같은 유독성 전자 폐기물 성분을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적절히 폐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아가 이러한 국가적인 노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에 해가 되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생계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매립지에서 계속 일할 수 밖에 없는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일자리 및 생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좀 더 건강한 삶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결기술 사례
출처와 참고자료
#환경